首页 > 百科
요즘 '결혼 축의금' 얼마…아는사이 5만원 이하, 친하면 5~10만원
发布日期:2023-12-05 03:34:38
浏览次数:006

알고 지내면 5만원. 친한 사이는 5~10만원. 설문 조사에서 나타난 가장 일반적인 결혼식 축의금 액수다.

결혼식 축의금으로 아는 사이에서는 5만원 이하를 낸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연합뉴스

결혼식 축의금으로 아는 사이에서는 5만원 이하를 낸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연합뉴스

26일 KB국민카드가 고객 패널 '이지 토커' 4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고객들은 알고 지내는 사이에는 평균 8만원을 내고,요즘apos결혼축의금apos얼마아는사이만원이하친하면만원우리 금융 주식 친한 사이에는 17만원을 낸다고 응답했다.

알고 지내는 사이에서 5만원 이하를 낸다는 응답이 53%였고, 5만원 초과 10만원 이하를 낸다는 응답은 44%, 10만원 초과 20만원 이하는 2%, 20만원 초과는 1%였다.

친한 사이에는 5만원 초과 10만원 이하(52%), 10만원 초과 20만원 이하(29%)를 낸다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둘을 합하면 81%에 이른다. 20만원 초과 30만원 이하(13%), 5만원 이하(3%), 30만원 초과(3%) 등이 뒤를 이었다.

촌수를 기준으로 보면 3촌 이내 결혼식에는 축의금으로 50만원 초과 100만원 이하(43%), 30만원 초과 50만원 이하(27%)를 낸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4촌 이상은 평균 26만원으로 나타났다.

동반 하객 유무와 식사비도 축의금에 영향을 줬다. '결혼식장 갈 때, 동반자가 있으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답이 76%, '식사비가 비싼 곳이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61%에 이르렀다.

KB국민카드가 최근 1년 결혼식장에서 300만원 이상 결제한 회원을 대상으로 해당 회원의 음식점, 가구, 가전 관련 업종 매출 및 해외 매출 등을 분석한 결과 가구·가전 업종 매출은 결혼식 4~5개월 전부터, 결혼식을 알리는 인사로 추정되는 음식점 업종 매출은 결혼식 2개월 전부터 눈에 띄게 증가했다.

월별 음식점 매출 비중은 결혼식 당월이 13%로 가장 높았고, 결혼식 1개월 전 10%, 2개월 전 9%로, 결혼식과 가까울수록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 올해 신혼여행지를 보면 해외가 80%, 국내(제주 포함)가 20%로 나타났다.

이해준 기자 lee.hayjune@joongang.co.kr

上一篇:정유사에 공정한 석유가격 책정 주문하는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下一篇:[정재훈의 음식과 약] 약과 자외선 차단
相关文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