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探索
군산조선소 재가동 희망고문, 언제까지
发布日期:2023-12-05 04:43:35
浏览次数:896

이에 ‘전북의 친구’를 자처한 문 대통령은 2017년 7월 28일 청와대에서 최길선 당시 현대중공업 회장을 만나 2년 뒤인 “2019년 군산 조선소를 재가동할 수 있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최 전 회장은 당시 “2019년이 되면 업계의 상황이 호전될 것”이라며“군산조선소도 좀 어려움을 참고 견디다가 2019년부터 어떻게든 일할 수 있도록 모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었다.

최 전 회장이 재가동 조건으로 내건 것은 연간 수주 70척이었다. 그러나 조선업이 호황인 현 상황에서도 70척 수주 실현은 어려워 보인다.

지난 8월 기준 현대중공업그룹의 누적 수주는 70척에 달했지만,군산조선소재가동희망고문언제까지펀드 소액 투자 현대삼호중공업 19건·현대미포조선 34건 등 계열사 실적을 제외하면 현대중공업 자체 수주는 17건에 불과했다.

여기에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 합병과 울산·경남지역 조선소 문제에 얽히면서 군산조선소 재가동 목소리는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다.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시기가 늦춰지는 것도 군산에는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을 인수하면 국내 조선업계가 빅2체재로 재편된다. 하지만 경쟁국과 노동계의 반대가 거세지면서 기업결합심사를 통과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처럼 현대중공업이 내부문제와 정부의 무관심이 이어지는 동안 군산조선업계는 붕괴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이후 85개사였던 협력업체는 현재 18개사만 남아 간간히 버텨오고 있으며, 조선업 근로자수도 5250명에에서 230명으로 곤두박질쳤다.

군산조선소 재가동이라는 전북 도민의 염원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 공약도 지켜지지 않는 게 아니냐는 우려감도 높아지고 있다. 언제까지 정부와 현대중공업의 입만 바라보는 희망고문을 계혹해야 될지에 대한 고민이다.

지역에서는 군산조선소 부지를 옛 한국지엠 군산공장(현재는 전기차 명신공장)처럼 다른 방안으로 활용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바른미래당 김관영 의원(군산)은 지난 2일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나서서 더 이상의 희망고문을 끝내고 군산조선소 문제를 이른 시간에 매듭지을 수 있도록 새로운 대안을 내놓아야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휴업한 업체의 경우 입주계약을 해지한다는‘산업집적활성화법’에 따라 조선소 측에 시정명령과 함께 공장 재가동을 위한 6개월의 이행기간이 주어졌고 그 기간도 끝나가고 있다”며“재가동과 업종전환, 매각 등 군산조선소에 대한 사후처리 방침을 조속히 세우고 그 결론에 따라 군산조선소의 향방을 결정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上一篇:민주당 전북도당 선대위 전략 윤곽…“선거에서 경쟁했던 사람들도 함께”
下一篇:전북도, 군산 고용위기지역 지정 연장 추진
相关文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