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时尚
전북지사직 인수위 42일 대장정 마무리... 인수위원 검증은 '과제'
发布日期:2023-12-05 03:56:02
浏览次数:844

전북지사직 인수위는 마지막 업무로 민선 8기의 전북도정 핵심 공약이 담긴 백서를 인쇄업체에 전달했다.

전라북도지사의 직 인수위원회 운영에 관한 조례 제9조에는 위원회가 위원회의 활동 결과 및 예산사용 명세를 백서(白書)로 정리해 위원회의 활동이 끝난 후 30일 이내에 공개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조례에는 30일 이내 공개해야 한다고 했지만 이르면 이번주,전북지사직인수위일대장정마무리인수위원검증은과제 늦어도 다음 주에는 관련 백서가 공개될 것이라는 전언이다.

백서에는 지난달 29일 중간보고회에서 공개된 111개의 세부과제와 추가 발굴된 96개 과제에 대한 선별과 구체적인 계획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image
전북일보DB

그간 전북지사직 인수위를 포함한 전국 243개 지자체 중 155개 지역에서 인수위를 설치해왔다.

전북은 현역 단체장이 당선된 군산, 익산, 진안, 무주, 임실, 부안군을 제외하고 모두 인수위가 구성됐다.

그러나 인수위 활동이 모두 평탄했던 것은 아니다.

전북지사직 인수위의 경우 일부 위원이 일신상의 이유로 사퇴했기 때문이다.

당시 사퇴 이유에 대해 인수위 측은 해당 위원이 개인 업무와의 병행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전했지만 지역정가에서는 위원의 과거 전과 이력이 문제가 돼 사퇴하지 않았냐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 같은 인물 논란은 위원회 구성 조례에 있어 구성 인원, 성비 등은 있으나 추가적인 전문성 및 검증 절차 등에 대한 내용이 없기 때문이다. 

또 일방적인 지시로 이어진다는 것도 개선해야 될 사안으로 자리했다.

전북지사직 인수위원 면면을 살펴보면 교수에 편중되다 보니 행정적인 소통 부분에서는 부족했다는 목소리가 있다.

특히 일부 위원은 파견 공무원을 대상으로 인수위 활동 내용을 유출 시 대상이 누구인지 색출하겠다는 발언도 논란이 있기도 했다.

이 밖에도 출석률이 저조한 위원에 대해 제재를 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는 점도 향후 개선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례에는 출석률이 50% 미만일 경우 해촉될 사유가 된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짧은 인수위 운영 기간을 고려했을 때 제대로 된 감시가 될지는 의문이다.

이에 대해 한 지역정가 관계자는 “짧은 기간 동안 운영되다 보면 다소 보여주기식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며 “처음 운영되는 인수위인 만큼 개선점 등을 찾아 보완해야 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上一篇:“기업이 중국서 나올 때 정부가 도와줘야” 이창용, 안덕근에 요청
下一篇:[사설] 연금개혁 실효성 있게 속도 내야, 전 정부 실기 반복 안 돼
相关文章